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11/0200000000AKR20180111090900004.HTML?input=1195m
요약
0. 지난 12월 28일 가상화폐 투기 근절을 위한 추가 특별대책을 추가로 내놓을 때
비이성적 투기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면서 거래소 폐쇄를 위한 특별법 제정도 검토하겠다는 입장 발표
1. 법무부는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까지도 목표로 하고있다.
2. 가상화폐에 대한 우려도 굉장히 커 법무부는 기본적으로 거래소를 통한 가상화폐 거래를 금지하는 법안을 준비 중
3. 가상화폐 거래가 투기, 도박과 비슷한 양상으로 이뤄지고 있다며
김치 프리미엄이 언론에 등장하는 것도 한국 거래가 비정상적이라는 해외의 평가가 내려진것이라 해석
4. 법무부는 정부 부처 간 협의에서 국내 가상화폐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 개진
5. 가상화폐는 어떤 가치에 기반을 둔 거래 대상은 아니다라며
산업 자본화해야 할 자금이 가상화폐로 빠져나가고 해외로 빠져나가고, 버블이 붕괴됐을 때 개인이 입을 손해나 그런 걸 생각하면 그 금액이 너무나 커 우려하는 것
6. 중국을 제외한 외국에서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 정책을 펴지는 않는다는 지적에는
"미국은 선물거래소에 모든 형태의 거래 대상을 올려서 거래 대상으로 삼고 있어 그런 측면에서 봐야 하고,
일본의 경우에도 제한적인 것이고 전면적으로 인정하는 건 아니라고 안다"고 답했다.
이 브리핑을 보고 생각한것은
- 정부부처간에 서로 의견이 다르고,
- 가장 반대하는 곳은 법무부(왜 경제나 금융위가 아닌 법무부가???)
- 자동차와 전자제품의 한국 프리미엄에 대해선 별대책 없으면서 유독 가상화폐의 프리미엄에 대해 부정적입장,
- 산업 자본화해야할 자금이 가상화폐로 빠져나간다고 하는 이야기와
코스닥 펀드 수수료 면제라는 오늘 기사를 보니 주식시장 활성화가 안되기 때문에 더 반발하는것으로 보임
- 버블 붕괴와 관련해서는 투자자들에대한 교육과 불투명하고 투기적인 투자 방지조치를 지속적으로 취하면 됨
- 마지막 중국의 경우 어제 거래소 폐쇄 정책이 위헌 판결 받음
어쩌면 예전 닷컴 버블을 생각해서 강경한것일 수 있겠지만
구글과같은 회사는 그때를 통해 지금처럼 성장한것처럼
무분별한 투기는 막아야하겠지만 가능성있고 잠재력있는 것에 대해서는
문을 열어줘야 하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