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산 컴퓨터에 새로 윈도우 등의 운영체제를 설치할때 마다

usb 혹은 dvd 등을 통해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중인 메인보드 마다 다른 단축키를 이용해 바이오스에 진입하여

부팅 순서를 바꿔 주어야 한다.

이게 제조사마다 같게 하면 좋을텐데 제각각인게 불편하다.

높은 확률로 F2, DEL 키를 통해 진입이 가능하고

 

메인보드별

LG : F12

GIGABYTE(기가바이트) : F12

ASROCK(애즈락), MSI, 페가트론 : F11

인텔, 컴팩 : F10

이엠텍, HP : F9

ASUS : F2,F8,F9 , 5년전이후부터 F12

FOXCONN : ESC (H61이상부터 F7로 변경)

삼성 : ESC

Biostar (이엠텍,앱솔루트,ESTAR) : F7, F9

노트북별

 
한성노트북 : F7

레노버 : F11

HP,컴팩 : F11 또는 F10

도시바 : 숫자0 을 누른채 전원 on, F2 또는 F12

DELL : 컨트롤+F11 또는 F2

삼성노트북 : F4

엘지노트북 : F11

ACER : ALT+F10

소니바이오 : F10

ASUS : F9

고진자 : FN+F4

이런식으로 되어있고, 가장 확실한건 부팅 첫화면에 나오는 단축키를 보면 알 수 있다.

 

이전부터 맥을 써오던 이들, 새로 발을 들인 분들 모두 

맥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기 마련인데

이때 윈도우기기를 따로 살필요없이

애플이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부트캠프'를 이용하여 같이 사용 가능하다


준비물 : 맥, 8기가 이상의 USB, 윈도우10 ISO 파일, 윈도우10 제품키



1. 공식 다운로드 링크에서 ISO 파일 다운로드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ISO)

- 위의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윈도우10 ISO 파일을 다운로드.


2. 부트캠프 시작 및 설치용 USB 제작준비


 

 

- 맥 OS의 검색기능인 '스포트라이트'에서 'boot'를 입력하여 부트캠프 실행.

- 부트캠프 실행 화면에서 'Windows 7 이상 버전의 설치 디스크 생성' 과 

'애플애서 최신 윈도우 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체크하고, 

계속을 눌러 설치용 USB를 만든다.

한 가지 주의 사항은 부트캠프 6에 포함된 윈도우10 드라이버는 64비트 버전만 지원하고,

윈도우10 32비트 버전은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윈도우10를 새로 설치하는 경우 무조건 64비트 버전 선택을 권한다. 


3. 설치용 USB 제작


 

 

이때 방금 다운받은 윈도우10 ISO 파일을 선택한다.


 

 

- USB를 한 번 포맷하고 부트캠프 드라이버(윈도우 관련 소프트웨어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부팅 디스크 만들기가 진행된다.

- 드라이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걸릴수 있다.


4. 윈도우 설치를 위한 파티션 설정


 

 

- 윈도우10을 설치할 파티션을 만들고 ‘설치’를 클릭하면 재부팅이 이뤄지고 설치가 시작된다. 



- 주의할 것은 윈도우 설치 파티션을 포맷 후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맨 아래 ‘Boot Camp’라고 쓰여진 파티션을 포맷하고 ‘다음’을 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5. 윈도우 설치



 

- 설치가 다 끝나면 자동으로 재부팅되고 '준비 중' 이라는 메세지가 표시되는데

간혹 이 화면이 오래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7시간 걸렸다는 증언을 듣기도...)

- 윈도우 부팅이 끝나면 자동으로 부트캠프용 드라이버 및 프로그램 설치가 되지 않으므로 

앞서 만든 설치용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 드라이버와 프로그램 설치가 끝나면 윈도우 설치및 초기 셋팅이 끝난다


 



 

윈도우10 설치 USB 제작 오류 해결 방법



 

- 위의 방법으로 설치 USB를 제작을 진행할때 USB선택 창에 USB가 안나오고 

아래의 이미지와 같은 화면이 나올경우 이 글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하면 된다

 


1. 사용할 미디어 선택에서 ISO 파일 선택


 

- 우선 위의 링크의 4번 항목인 사용할 미디어 선택까지는 동일하고, 

이 화면부터 다른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 이 창에서 이번에는 ISO 파일을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 ISO 파일을 선택하면 파일을 다운 받을 경로를 선택해준다


경로 선택이 끝나면 파일을 다운된다


 

- 파일다운이 완료되면 이제 이 파일을 외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치USB를 만들 수 있다.


 

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MFS_111001

네이버에서 RUFUS를 설치한뒤 


 

- 방금 다운받은 ISO 파일 경로를 찾아가 선택하여 열기 버튼을 클릭해준다

 

- 창의 왼쪽 최하단부가 사용 ISO: Windows.iso 로 바뀐것을 볼 수 있다.


 

- 시작을 눌러주면 위와 같은 경고가 나오는데 확인을 눌러준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ISO 파일을 복사... 진행창이 점점 차오르고


- 완료로 바뀌면 설치USB 제작이 끝난다.

 

이젠 윈도우가 이전처럼 XP, 7, VISTA, 8, 8.1 이런식으로 별도의 운영체재로 나오는 것이 아닌

안드로이드나 맥OS 처럼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화 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윈도우10을 이용하면 언제나 최신의 윈도우를 사용 가능하게 된다

윈도우10을 설치하기 위한 가장 처음 해야하는 일로

설치 USB를 만들어야 한다


1. 설치 USB 만들기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해주는 링크로 

이 링크를 통해 설치USB를 만들 수 있다.


설치USB를 만들기 전에 포맷을 1회 진행하고 USB명도 바꿔두는 편이 좋다


1. 지금 도구 다운로드 실행


- 지금 도구 다운로드를 다운받아 설치하고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동의를 선택하면된다


2. 작업선택


- 윈도우 10을 설치하는 방법은 '지금 이 PC 업그레이드',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

이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경험상 업그레이드를 통한 설치는 오류가 많이 발생.

-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 선택 후 다음 클릭


3. 언어, 아키텍처 및 버전 선택


- 언어 : 말그대로 윈도우에 기본 설치할 언어를 선택

- 에디션 : 윈도우10의 다양한 버전(홈, 프로, 엔터프라이즈 등등) 중 사용할 버전 선택

- 아키텍처 : 32비트, 64비트중 어떤것을 설치할지 선택

이 창에서는 보통 위와 같은 선택을 하면 되고, 램이 4기가 미만일 경우 32비트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사용할 미디어 선택


- 설치 파일을 USB에 만들것인지 DVD에 만들기위해 ISO파일을 받을것인지 

선택하는 창으로 최신 트렌드가 CD롬이 없어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향후를 위해서도 USB로 만드는것이 바람직하다.


5. USB 선택

- 설치 파일을 만들 USB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 하면 아래와같은 창이 나오며 

설치USB를 만들어준다


 



6. 확인


- 마지막으로 설치USB를 만든 USB 드라이버를 봤을때 이와같은 파일들이 생성되는것을 확인하면 된다





 

윈도우10 설치방법

 

1. 설치usb를 만든 후 부팅시 USB로 부팅하게 설정해주고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

2. 위의 화면에서 ENTER를 누르면

 

3. 이 화면이 나오는데 일반적으로 위와같은 설정이 기본이고,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바로 다음으로 넘어가면 된다.

 

4. 이전 화면에서 다음을 누르면 뜨는 화면으로 역시 빨강박스 안의 지금설치를 클릭.

 

5. 잠시의 시간이 지나면 설치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6. 윈도우10 정품인증 코드가 있으면 그것을 입력하고, 없다면 '제품 키가 없음'을 클릭

(제품키가 없더라도 일정 기간동안 사용가능 하지만, 후에 1차로 화면 우측하단에 정품인증 경고,

그 뒤에는 인터넷이 정지될 수 있다/ 안전모드에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다고도 한다.)

7. 이 화면은 사용자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 자신이 원하는 운영체제 종류를 선택하면 된다.

 

8. 라이센스 동의를 받는 창으로 동의함을 체크한 후 다음으로.

 

9. 설치 방식은 업그레이드와, 사용자 지정 두가지가 있는데

업그레이드는 간혹 오류가 발생하기도 하고, 기존 파일들이 windows.old 폴더로 모여들어가기 때문에

중요 데이터를 백업해두고 사용자지정으로 클린 설치 하는 편이 맘편하다.

 

10. 파티션 설정과,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을 지정하는 화면이다.

ssd은 파티션을 나누지 않는것이 안전하고 효율이 좋다.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은 미지정 파티션이 있다면 새로 만들기를 통해서,

기존 파티션을 나눌 경우 삭제버튼을 누른후 새로 만들기로 나누는데

이때 용량은 1GB당 1024MB로

만약 50GB짜리 파티션을 분할한다면 50 X 1024 = 51,200MB

이런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윈도우를 설치할 파티션을 클릭하여 위의 이미지와 같이 하늘색 배경이 나오게 한다음 다음버튼을 클릭.

 

11. 파티션과 윈도우를 설치할 드라이버를 설정하고 다음을 누르면 설치가 진행된다.

 

12. 설치가 끝나면 위와같은 화면이 잠시동안 나오고 재부팅이되는데

이때 설치usb를 제거해준다.

(제거가 안되면 계속 설치화면이 나올 수 있으니 주의)

 

13. USB를 제거하고 재부팅이 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온다.

 

14. 국가를 선택한다(한국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

 

15. 키보드 설정

 

16. 두 번째 키보드는 일본어나 중국어 등 다른 언어를 이용할때 필요하다고 한다.

 

17.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통해 업데이트를 검색하고

설치가 마무리되면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18. 원하는 용도를 선택한 후 다음버튼.

 

19. 마이크로소프트사 계정을 등록하는 곳으로

등록을 하면 후에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 동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컴퓨터 정보가 등록되고, 혹여나 분실시 위치 정보 확인도 가능하다.

 

20. 핀 설정은 여러 윈도우10 디바이스를 같은 계정으로 사용할시 유용하다

계정 비밀번호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동일하지만

핀은 각각 다르게 설정이 가능해서, 혹여나 비밀번호 유출시 보안상 좋다.

 

21. 기본으로는 숫자로만 가능하지만

'문자 및 기호 포함'을 체크하면 문자, 기호, 숫자 모두를 이용해 설정 가능하다.

 

22. 핀 설정이 끝나면 윈도우 내에서 제공하는 여러 기본 설정을 키고 끌 수 있는 설정창이 나오고

필요 유무나, 컴퓨터 이용 목적, 사양 등에 따라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23. 위의 설정이 끝나면 설치가 완료된다.

 

24. 잠시의 시간이 지나면

 

25. 이런 식으로 화면이  바뀌고

 

26. 이 화면을 끝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이 화면은 간혹 오래 걸리기도 하는데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7~8시간 걸렸다는 이야기도 들었고

보통은 10분 내 혹은 길면 1~2시간 정도 걸릴 수 있다.

 

+ Recent posts